문성리뷰MoonsongReview

#리뷰 #예술 #여행 #서울 #일상

분류 전체보기 109

[서울] 청계천을 통해 서울과 한국의 근현대사를 엿볼 수 있는, 청계천박물관

전시장소: 서울특별시 성동구 청계천로 530 청계천박물관전시기관: 서울시 박물관과의 서울역사박물관 산하 청계천(역사)박물관으로 공공문화예술기관전시내용: 청계천이 다시 물길로 복원되면서 2005년 개관한 박물관으로 청계천의 역사와 문화를 전시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관람방법: 화 ~ 일요일 09:00 ~ 18:00 (입장마감 : 17:30) 월요일과 1월1일 휴관, 관람료는 무료 청계천박물관에 대해 조금 더 알아보고 싶다면 아래의 홈페이지를 참고할 것https://museum.seoul.go.kr/cgcm/index.do 청계천박물관1존 개천시대 조선의 수도 한양의 중심을 가로지르던 개천(청계천)이 도심 하천으로서의 역사를 시작하는 내용을 다룬다. 한양 정도定都 과정과 도성 안 물길을 다스리..

[서울] 삼대가옥에서 만난 소설가 박경리, 이제 더는 관람하기 어려운 돈의문박물관 마을을 돌이켜보며

전시장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송월길 14-3 돈의문박물관마을전시기관: 서울시 산하의 공공문화예술공간으로 민간 사업자가 위탁받아 운영 중전시내용: 마을 전체를 박물관으로 만든다는 모토하에 돈의문 옆 서울의 근현대사를 간직한 골목길 일대를 최대한 기존의 정취를 살리는 전시공간으로 탈바꿈해 돈의문의 역사를 살펴보는 돈의문전시관, 전통문화체험이 가능한 한옥시설, 삼대가옥, 서대문여관, 스코필드기념관 등 기존의 건물과 돈의문일대의 역사를 돌아볼 수 있는 전시체험 공간들이 골목에 있으며 서울도시건축센터, 서울미래유산관, 돈의문방구, 서대문사진관, 새문간극장, 돈의문콤퓨타게임장 등 근현대사의 역사문화를 체험해볼 수 있는 놀이공간도 함께 조성되어 있다. 관람방법: 현재 돈의문박물관 마을은 경희궁지 일대 역사문화공원 조..

[서울] 근현대사 속에서 우리를 돌아보게 하는, 서대문형무소

전시장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통일로 251 서대문형무소역사관전시기관: 서대문구 산하의 공공문화시설로 서대문구도시관리 공단에서 운영하고 있다. 전시내용: 1908년 10월에 문을 열어 1987년 11월에 폐쇄된 감옥으로, 일본 제국주의시대부터 민주화 운동까지 감옥으로 사용된 사적지이자 우리나라의 역사적인 인물들이 갇혀있던 현장을 그대로 관람할 수 있는 곳이다. 과거 감옥으로 건축된 구조를 그대로 살려서 형무소 관련 역사실,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을 비롯해 민주화운동사를 엿볼 수 있는 전시관, 조사실과 사형장, 망루와 담장 등 역시 역사를 돌아볼 수 있는 전시공간으로 운영되고 있다. 관람방법: 1월1일, 설날과 추석 당일, 매주 월요일 휴관을 제외하고 9시30-6시까지 관람가능하며 11월-2월 겨울철에는 5시..

[서울] 딜쿠샤, '기쁜 마음'으로 과거를 둘러보게 하는 아름다운 일제강점기 서양건축

전시장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2길 17전시기관: 서울시 산하의 서울역사박물관의 부속 역사유적지로 역사박물관의 연구와 복원, 전시기획으로 운영되고 있다.전시내용: 일제강점기 서울에서 서양식 건물을 짓고 살았던 테일러부부의 집으로 건축 자체를 비롯해 1층 테일러부부의 생활상, 2층 테일러의 일제강점기 대한민국과 연관된 언론활동과 딜쿠샤의 복원 과정 등을 둘러볼 수 있다. 관람방법: 1월1일과 매주 월요일 휴관, 화-일, 9시-18시 (입장마감 17:30) 관람요금은 무료이다. 전시해설서비스는 서울공공서비스 예약사이트에서 인터넷으로 접수가능딜쿠샤에 대해서 좀 더 알고 싶은 이들은, 다음의 서울시 링크를 참고하시길https://museum.seoul.go.kr/www/intro/annexIntro/ann..

[서울숲] 나의 의생활을 돌아보고 나만의 스타일을 만들어갈 기회, 다시입다연구소 21%랩

전시장소: 서울숲 언더스탠드애비뉴 전시기관: 비영리 환경단체 전시내용: 환경을 위한 의류를 다시 입자는 캠페인을 벌이는 비영리단체 에서 진행하는 전시, 다양한 워크샵, 각자가 필요없지만 아직 입을 수 있는 옷들을 들고와 교환을 하는 21% 파티 등의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만나볼 수 있다.참여방법: 의 홈페이지, 인스타그램의 공지를 확인하여 참여신청을 하면 전시, 워크샵을 각각 체험해볼 수 있고 랩은 예약없이도 방문해서 둘러보고 다양한 단체의 활동과 전시컨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 다시입다연구소에 대해서, 그리고 21%파티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아래를 참고하길https://wearagain.org/ 다시입다연구소 | 당신이 다시 입을 때까지 연구합니다지속가능한 의생활 캠페인wearagain.org..

[서울] 서울식물원

전시장소: 서울식물원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동로 161전시기관: 서울시 산하기관으로 공공 문화예술기관으로 운영중이다.전시내용: 크게 주제정원과 열린숲, 호수원, 습지원 등의 식물원으로서의 공간과 이들을 주제로 한 전시공간, 그리고 식물문화센터, 식물전문도서관, 씨앗도서관(씨앗대출이가능한 씨앗보관소), 정원지원실 등의 부대시설로 나뉘어져 있고 이들 모두 체험, 관람할 수 있다. 관람방법: 열린숲, 호수원, 습지원 등의 공간은 연중무휴로 운영, 주제원과 온실을 비롯한 전시, 컨텐츠공간은 월요일 휴무, 10-18시까지 관람가능서울식물원에 관련해 좀더 알고 싶다면, 다음 링크 참고하길 https://botanicpark.seoul.go.kr/front/main.do" data-og-host="botanicpar..

[서울_잠실] 석촌호수의 정취를 더하는 더 갤러리 호수 개관기념전시

전시장소: 잠실역 석촌호수, 서울특별시 송파구 방이2동 잠실로 180전시기관: 송파구립 미술관으로 공공기관에서 운영전시내용: 1,2층에서 기획전, 야외정원에서 조각 등을 만나볼 수 있다.관람방법: 무료, 화-일 AM10- PM19 (매주 월요일 휴관)더갤러리 호수에 대해서 좀 더 알고 싶다면, https://www.instagram.com/thegalleryhosu/Review석촌호수 근처를 자주 가는지라 가면 종종 산책하곤 하는데, 오랫동안 공사중이었던 곳이 가림막을 벗고 개관전시를 하고 있었다. 가림막에는 태권브이가 그려져 있어서 어쩐지 미심쩍었는데 알고보니 송파구의 구립미술관으로 일종의 갤러리로서 역할하는 곳이었다. 공간이 작아서 아마도 수장고가 없는 듯 하고 그래서 일종의 전시기능만 갖춘 갤러리로..

[서울_잠실] 여전히 강력히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구상회화의 매력을 보여주는, 미셸 들라크루아 <행복한 순간의 기억>

전시장소: 잠실점 에비뉴엘 6F 아트홀전시기관: 롯데백화점에 속한 갤러리로 사립갤러리로 운영되고 있다.전시내용: 미셸 들라크루아의 개인전으로, 파리에서 나고 자란 본인의 기억속 아름다운 파리의 사람들과 풍경을 만나볼 수 있다. 관람방법: 무료, 24.11.22(금) ~ 25.2.16(일) 평일 및 주말 10:30~19:00 잠실 롯데갤러리에 대해서 좀 더 알고 싶다면, 다음 링크를 참고하길 https://www.lotteshopping.com/gallery/exhibitionDetail?gallyNo=GAN00000000000001737 롯데백화점지점별 쇼핑정보, 매장안내, 우수고객 제도, 문화센터, 웨딩센터, 롯데갤러리 등 정보제공www.lotteshopping.comReview미셸 들라크루아는 19..

[광주] 원도심 푸른길 골목여행, 광주의 오랜 속살을 들여다보다

체험장소: 광주광역시 동구, 남구에 걸쳐 있는 근린공원운영기관: 시민들이 경전선 도심구간을 공원화하고자 시민단체를 결성해 푸른길 조성운동을 시작했고 시에서 받아들여 조성후에도 관리에 참여하고 있는 공공근린공원이자 시민단체가 참여해 운영하는 시민참여형 문화공간체험내용: 옛 경전선 광주도심구간으로 남겨진 폐선부지에 조성된 도시공원으로 구 도심을 지나기에 구도심의 근현대변천사와 근린 생활문화시설들- 카페, 레스토랑, 문화예술공간을 비롯한 근현대사적 유적들-까지 함께 경험할 수 있다. 체험방법: 광주역에서 계림동 방향으로 선로가 끊기는 부분이 푸른길의 시작점으로, 광주역을 이용한다면, 광주역에서 시작해 자연스레 구도심을 지나며 광주의 오래된 (쇠락한) 구도심지역과 현재의 도심지역까지 경험할 수 있다. 푸른길..

[광주] 예술이 시장으로 갔을 때, 대인예술시장

체험장소: 광주광역시 동구 제봉로 194번길 7-1 광주대인시장운영기관: 과거 양동시장과 함께 광주의 양대시장으로 불린 재래시장체험내용: 2008년 광주비엔날레에서 진행한 '복덕방 프로젝트'를 계기로 예술가들이 대인시장에 둥지를 틀고 작업을 하며 시장에 다양한 작업들을 선보였고 전통시장과 예술이 만난 전시와 공연, 시장쇼핑 등을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이름이 알려졌다. 봄이 오면 야시장 '별장'이 열리고 거리공연, 갤러리, 시민 판매대 등을 선보인다.체험방법: 무료, 일년 내내 하는 것이 아니라 연간 스케줄이 있기 때문에, 매년 대인예술시장 운영시기를 인스타로 참고하고 찾아야 한다. 관련된 정보는, 다음 링크를 참고할 것,https://daeinya.imweb.me/?fbclid=PAQ0xDSwKl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