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성리뷰MoonsongReview

#리뷰 #예술 #여행 #서울 #일상

전시관람 17

[서울] 딜쿠샤, '기쁜 마음'으로 과거를 둘러보게 하는 아름다운 일제강점기 서양건축

전시장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2길 17전시기관: 서울시 산하의 서울역사박물관의 부속 역사유적지로 역사박물관의 연구와 복원, 전시기획으로 운영되고 있다.전시내용: 일제강점기 서울에서 서양식 건물을 짓고 살았던 테일러부부의 집으로 건축 자체를 비롯해 1층 테일러부부의 생활상, 2층 테일러의 일제강점기 대한민국과 연관된 언론활동과 딜쿠샤의 복원 과정 등을 둘러볼 수 있다. 관람방법: 1월1일과 매주 월요일 휴관, 화-일, 9시-18시 (입장마감 17:30) 관람요금은 무료이다. 전시해설서비스는 서울공공서비스 예약사이트에서 인터넷으로 접수가능딜쿠샤에 대해서 좀 더 알고 싶은 이들은, 다음의 서울시 링크를 참고하시길https://museum.seoul.go.kr/www/intro/annexIntro/ann..

[서울_잠실] 석촌호수의 정취를 더하는 더 갤러리 호수 개관기념전시

전시장소: 잠실역 석촌호수, 서울특별시 송파구 방이2동 잠실로 180전시기관: 송파구립 미술관으로 공공기관에서 운영전시내용: 1,2층에서 기획전, 야외정원에서 조각 등을 만나볼 수 있다.관람방법: 무료, 화-일 AM10- PM19 (매주 월요일 휴관)더갤러리 호수에 대해서 좀 더 알고 싶다면, https://www.instagram.com/thegalleryhosu/Review석촌호수 근처를 자주 가는지라 가면 종종 산책하곤 하는데, 오랫동안 공사중이었던 곳이 가림막을 벗고 개관전시를 하고 있었다. 가림막에는 태권브이가 그려져 있어서 어쩐지 미심쩍었는데 알고보니 송파구의 구립미술관으로 일종의 갤러리로서 역할하는 곳이었다. 공간이 작아서 아마도 수장고가 없는 듯 하고 그래서 일종의 전시기능만 갖춘 갤러리로..

[광주] 지금 가장 주목받는 작가, ACC 미래상2024 <딜리버리댄서의 선: 인버스> 김아영

전시장소: 광주아시아문화전당 문화창조원(전시관) 복합전시1관운영기관: 광주아시아문화전당으로 문체부에 소속된 공공 문화예술전시기관전시내용: 광주아시아문화전당에서 제정한 "미래상"의 첫번째 수여자인 김아영 작가의 전시관람방법: 무료 2024.8.30-2025.2.16 화-일 10시-18시 매주 월요일 휴관광주아시아문화전당에 대해서 좀 더 알아보고 싶다면, 다음 홈페이지를 참고하길 https://www.acc.go.kr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전시 - 예정전시제1장 - 총칙 제1조 (목적) 제2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제3조 (약관 외 준칙) 제4조 (용어의 정의) 제2장 - 서비스 제공 및 이용 제5조 (이용 계약의 성립) 제6조 (비회원정보 사용에 대한 동의) 제7조www.acc.go.krReviewACC..

[광주] 5.18.을 잊지 않기 위하여, 전일빌딩

전시장소: 광주 전일빌딩245 운영기관: 광주광역시가 운영하는 문화시설로 공공기관으로 운영운영내용: 지하1층부터 4층까지는 시민플라자라는 이름으로 카페, 야외갤러리, 아카이브, 안내센터, 시민갤러리와 도서관 등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5층부터 7층까지는 광주콘텐츠허브로 입주기업전용공간으로 일반인에게는 개방되지 않고 8층부터 옥상까지는 시민들에게 개방된 5.18관련 전시관이자 역사적인 장소로서의 보존구간, 정원 등으로 운영되고 있다.관람방법: 무료, 휴관일은 1월1일과 설, 추석으로 9시부터 저녁10시(동절기9시)까지 운영, 관람시설은 10시부터 저녁 7시까지 운영하며 관람 종료 30분전까지 입장 가능하다.전일빌딩245에 대해 좀 더 궁금하다면, 다음 홈페이지를 참고하길https://www.gwangju.go..

카테고리 없음 2025.05.18

[광주] 현대미술 최전선의 작업들을 만나볼 수 있는, 광주미디어아트플랫폼

전시장소: 광주 미디어아트플랫폼 gmap운영기관: 광주시립미술관에 소속된 미디어아트전문 플랫폼으로 공공기관 산하 운영기관이다전시내용: 광주미디어아트플랫폼(G.MAP)은 광주비엔날레 30주년 특별기념전으로 오를랑이라는 작가의 다양한 작업을 선보이는 전시로 변형된 가상의 신체를 활용해 실천적 목소리로 발화하는 독특한 작가의 작품들을 선보이고 있다. 관람방법: 무료, 10:00-18:00, 매주 월요일, 1월1일, 설당일 추석당일 휴무광주미디어아트플랫폼에 대해서 그리고 전시에 대해서 좀 더 궁금하다면, 다음 홈페이지를 참고하길http://gmap.gwangju.go.kr/bbs/board.php?bo_table=exhibition&wr_id=121&sca=%EA%B3%BC%EA%B1%B0%EC%A0%84%EC..

[광주] 광주의 문화가 담긴 시공간에 세계각국의 현대미술이 포개지다 2024비엔날레파빌리온part2

전시장소: 광주 아시아문화전당 주변 곳곳 운영기관: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광주비엔날레 재단 운영전시주체: 광주비엔날레와 협력한 각국의 큐레이터와 아티스트들로 사진순대로 유니온( 유럽을 비롯한 각지의 작가들이 모인 그룹), 일본, 뉴질랜드, 페루, 카타르, 스웨덴전시내용: 국내외 미술과 문화기관 네트워크 확장의 일환으로 시작된 광주비엔날레 파빌리온은 2024년 15회를 맞으며 30여개로 다양한 국가, 도시, 기관에서 참여했으며 그 중에서 동명동 일대에서 각자 자신들의 관점에서 다양한 소재를 다루며 광주비엔날레의 주제관과 함께 지금 현재의 우리를 돌아보는 현대미술의 목소리를 들려준다. 관람방법: 역시 광주비엔날레의 통합권인 유료관람 티켓을 구매한 후에 티켓을 보여주며 입장하면 되고 사전예매시 15000원, 개..

[광주] 역사와 현재의 교차점에서 현대미술의 위치를 돌아보게 해주는, <2024광주비엔날레> 양림문화마을 전시들

전시장소: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 남구 서서평길 30(양림동) 양림문화샘터 및 양림동일대운영기관: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광주비엔날레 재단이 운영전시내용: 광주비엔날레의 본전시가 진행되는 주제관과 더불어 '온 광주에 울림을 일으키고자' 선택한 장소라고 안내하는 양림마을의 곳곳, 총 여덟군데의 전시공간에서 열 명의작가들이 비엔날레의 주제 "판소리:모두의 울림"에 연관한 작업들을 풀어냈다. 양림의 공간과 주민들, 창작자들의 작업이 어우러지는 경험을 할 수 있다관람방법: 유료관람으로 성인은 사전예매시 15000원, 개막후 현장판매 18000원, 2024년 9월7-12월1일. 매주 월요일 휴관, 관람시간 10:00-18:00광주비엔날레는 2년에 한번씩 열리는 현대미술의 현재를 가늠할 수 있는 대규모의 전시축제로, 2..

[남양주] 다산 정약용의 자취를 따라서, <정약용유적지기념관>, <실학박물관>

전시관련 기본 정보전시장소: 다산 정약용 유적지 기념관, 실학박물관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다산로747번길 11, 건너편에 실학박물관이 자리하고 있다.운영기관: 다산 정약용 유적지는 남양주시에서, 실학박물관은 경기도문화재단에서 즉 공공문화예술기관에서 운영전시내용: 다산 정약용이 나고 자랐고 후에 돌아와서 여행을 마감한 곳이라 그의 생가와 작은 언덕의 묘까지 관람할 수 있으며 기념관에서 그의 생애와 업적을 간단히 살펴볼 수 있다. 건너편에는 실학박물관에서 정약용을 비롯한 다양한 실학자들의 사상과 활동, 업적을 살펴보며 당대의 분위기와 사회적인 상황까지 두루 살펴볼 수 있다. 관람방법: 유적지 기념관, 실학박물관 모두 무료관람으로  10:00~18:00 (입장마감 17:30) 매주 월요일, 매년 1월 1일,..

[괴산] 자연 속의 천진함을 누리는 기쁨, <즐거운 삶의 기록: 나무인형작가 故한명철>

전시관련 기본정보전시장소: 괴산군수관사,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동부리 551운영기관: 괴산군에 있는 문화유산으로 문화예술교육단체 문화학교숲이 위탁으로 공공문화예술프로그램을 운영전시내용: 괴산칠성의 한명철 작가를 추모하는 전시로 자연물 그중에서도 특히 나무를 재료로 만들었던 다양한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다. 관람방법: 무료관람, 2024년 11월1-17일 기획전시 전시는 끝났지만 현재 괴산의 다양한 문화예술프로그램을 확인하려면, 문화예술교육단체 문화학교숲의 홈페이지를 참고 https://cssoop.com/29 문화학교 숲삶의 가치를 심고 가꾸고 수확하는 문화예술교육단체, 문화학교 숲cssoop.com 전시는,괴산 칠성의 작가 한명철을 추모하는 작가의 유품이자 작품들로 구성되어 있다.한명철 작가는 충북괴..

[서울] 역사적 폐허에서 예술을 만나는 특별한 경험, <미래를 그리다 2024탱크예술제> 문화비축기지

전시관련 기본정보전시장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증산로 87 문화비축기지운영기관: 서울시 산하의 공원이자 문화예술플랫폼으로 전시, 공연, 행사 등을 개최하는 서울시 공공기관전시내용: 매년 가을 문화비축기지에서 진행하는 예술제로, 과거 석유탱크였던 기지의 전시공간들에서 올해에는 '미래를 그리다'라는 주제로 일곱개 공간에서 일곱게 테마의 전시로 다양한 작가들의 작품을 선보였다. 관람방법: 무료관람, 10시부터 18시 (월요일 휴관) 2024.10.11-2024.11.3. 문화비축기지에서는 기획전시를 다양하게 운영하며 현재에도 역시 다른 전시를 진행중이다. 전시가 궁금하다면, 아래의 홈페이지를 참고하길https://parks.seoul.go.kr/template/sub/culturetank.do 자전" data-..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