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 기본정보
- 전시장소: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서울특별시 중구 덕수궁길 61
- 전시기관: 서울특별시 산하 서울시립미술관 (공공기관)에서 운영 중이며 이곳은 본관이고 여러 분관으로 확장 중
- 전시내용: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은 천경자작가의 기증작들을 바탕으로 한 천경자 상설 전, 가나아트 대표가 기증한 민중미술계열 중심의 작품들을 바탕으로 한 가나아트상설 전 외에는 연간기획으로 기획, 특별전을 선보이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9월 프리즈서울, 키아프 등을 비롯한 아트위크와 시기를 맞춰 오픈한 한국현대미술 전시
- 관람방법: 관람료 무료, 화-일, 10시-8시(평일), 토일 7시까지
- * 현재는 리뷰에 쓴 전시가 끝나고 다른 기획 전시들이 운영되고 있으니, 홈페이지를 참고해서 전시를 확인해 보길 권한다.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을 방문할 때 기억하면 좋을 것,
- 서울시립미술관은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미술전문박물관으로 서울시 문화본부 산하의 박물관과에서 미술전문 박물관 전체를 관장하는 곳이다. 현재 본관에서 서울시립미술관 전시 및 동시대의 전반적 흐름을 가늠해 보고 분관들도 참고해 보자.
- 남서울분관에서 조각을 중심으로 한 주제전, 서서울분관(아직 완전히 개관한 것은 아니다)에서는 지역밀착성을 실험하는 다양한 리서치기반의 실험작업들, 북서울분관에는 지하의 어린이미술관과 수장고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지역프로그램을, 평창아카이브에서는 미술사료와 미술연구, 미술도서관을 포함한 작품들의 섬세한 연구작업을, 이제 곧 개관하는 창동사진미술관에서는 다양한 근현대사 한국미술사진들을 만나볼 수 있다.
- 서소문본관의 건축은 일제강점기 때에 경성헌법재판소였으며 해방 이후에도 이어서 우리나라의 헌법재판소로 활용되었다가 헌법재판소가 재동의 현재 자리로 이전하며 남은 건축유산을 문화예술적으로 활용하고자 서울시에서 건축공모를 통해서 파사드와 내부 뼈대 등의 주요 건축적 특성을 살리고 미술관으로 개관해 현재까지 활용 중이다. 정원에도 한국현대미술의 대표작가들의 작품들을 감상할 수 있기에 내부 전시만이 아니라 정원도 역시 둘러보며 감상하기를 권한다.
Review
2024년 8월부터 11월까지 진행한 <끝없이 갈라지는 세계의 끝에서>는 특히 서울시립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한국현대미술의 주요 작품들이 참여했을 뿐 아니라 주목할만한 젊은 작가들의 신작들까지도 만나볼 수 있는 대규모의 전시였고 특히 작품을 규정하거나 분류하는 주요 특성이라 할 수 있는 "매체"를 기준으로 다양한 작품들을 감상하고 비교하며 각 매체들의 특성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이미 전시의 서문에서부터 매체를 중심으로 소장품의 분류와 동 시대성, 여성작가들의 비율을 선보이며 이미 한국현대미술의 장르적 변천과 탐색적 확장을 가늠해 볼 수 있었는데, 시대적 변화를 실감했던 것은 특히나 이전에 비해서 매체적인 다양성은 폭발적으로 늘어났고 여성작가의 비율이 -이전에는 10퍼센트 대였음을 기억하고 있다-30퍼센트를 넘겼다는 점이었다. 더불어 전시구성 자체도 다양한 매체가 계속해서 교차하며 구성되어 어느 동선에서든 다양한 매체를 비교감상할 수 있기에 더더욱 한국현대미술을 다층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도 일종의 한국현대미술의 요약집을 살펴보는 기분이었다.
게다가 일제강점기에 서양화가 본격적으로 유입되고 서양미술이 시작되었지만 해방과 한국전쟁을 거치며 전 세계적인 미술사의 전개에는 조금 늦게 합류한 우리나라의 특성상, 1970년대의 실험미술- 퍼포먼스기록, 비디오아트, 개념미술, 등의 아카이브 등- 을 시작한 작가들이 한국미술의 매체와 장르적 저변을 확장해 오는 역할을 했는데, 그와 같은 출발을 기념비적인 작품들 중에 서울시립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작품들이 꽤나 많다는 사실에 공공미술관으로서 한국현대미술사에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새삼 실감했다.
기획전시라 현재는 홈페이지로 확인할 수 있지만, 궁금한 사람들이 있다면 홈페이지 그리고 도록을 참고하길 바란다. 더불어 서울시립미술관은 계속해서 다양한 그리고 특히나 현대미술의 최전선에 있는 미디어아트작업들을 조명하는 전시와 비엔날레를 운영하고 있으니, 낯설더라도 새로운 경험을 하고 싶다면, 흥미가 생긴다면, 가벼운 마음으로 방문해서 즐겨보는 것으로 시작해 보길 권한다.










📍서울시립미술관과 전시에 관련한 더 많은 정보가 궁금하다면,
SeMA
작품명 작품 정보 열기/닫기 김성환 개인전 《Ua a‘o ‘ia ‘o ia e ia 우아 아오 이아 오 이아 에 이아》 작품 정보 닫기 전시장소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전시기간 2024.12.19 ~ 2025.03.30 평일(화
sema.seoul.go.kr
'전시 리뷰 exhibitions review > 미술 전시 exhibitio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미술은 환경을 위해 어떻게 활동하는가 <무세오 에어로솔라> 리움미술관 (6) | 2025.01.29 |
---|---|
[서울] 인사동에서 <아메리칸팝아트 거장>을 만나다, 안녕인사동 인사센트럴뮤지엄 (3) | 2025.01.28 |
[서울] AI라는 키워드로 만나는 과학X예술, <Human Unreadable>, 힉엣눙크 Artist Talk (8) | 2025.01.22 |
[서울] 미디어아트 기술은 어디까지 왔나 <reSOUND: 울림, 그 너머> 문화역서울284 전시 (5) | 2025.01.21 |
[서울] 잠실 <fuzzy style> 에비뉴엘 아트홀 (0) | 2025.01.13 |